공병우박사의 한글 세벌식 자판, 두벌식과 함께 표준화 해야 한다

by 고영훈 2012-01-15 19:10:00

공병우 박사가 이대로 정보학회 부회장에게 준 세벌식 타자기 사진

[e-교육신문 www.newsedu.kr] 지난해 11월에 방한한 에릭 슈미츠 구글회장은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와 과학, 교육의 발전으로 해시계, 물시계 등 놀라운 과학기술과 발명품들이 지금의 한국을 다른 국가보다 수 세기 앞서게 했다"며 극찬했다. 한편 한국어정보학회(회장 진용옥)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을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및 IT 기기들의 한글 자판의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어정보학회는 1월 14일 서울 남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한글 세계화, 표준화, 정보화 방향 모색 워크숍'을 열고 '두벌식 자판과 완성형 코드가 잘못된 까닭과 속내'라는 주제로 강연과 함께 토론을 진행 했다.

이날 주제발표에서 한국어정보학회 이대로 부회장은 공병우 박사가 평생을 연구한 세벌식 자판의 탄생 배경과 편리성 그리고 현재 두벌식 자판의 문제점을 지적했으며 앞으로 세벌식 자판의 표준도 함께 추진 할 것임을 밝혔다.

특히 이대로 부회장은 세벌식 자판에 대해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원리가 가장 합리적이며 모든 외국어의 표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의 강국이 되는 문화유산 이다 "고 힘주어 말했다.

다음은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주제발표 원문을 옮긴다.


KEY MESSAGE

미드저니 훈련에 아티스트 1만6천명 리스트 존재

이미지 생성 AI 미드저니(Midjourney)의 학습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AI가 10초 음성으로 당뇨병 진단…”정확도 86% 이상”

스마트폰에 녹음된 10초 정도의 목소리만으로 제2형 당뇨병 여부를..

“코로나 후유증 세로토닌 고갈과 관련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후유증 '롱 코로나'(Long COVID)가 세로토닌..

소행성 ‘베누’에 생명체 위한 물·탄소 존재

미국 항공우주국(NASA) 탐사선이 회수한 소행성 ‘베누(Bennu)’ 샘플에서 생명체에..

“집 없으면 흡연, 비만보다 빨리 늙는다”

임대주택 거주자가 자가 소유자보다 생물학적 노화가 더 빠르다는..